삼재(들삼재,눌삼재,날삼재)에 대하여: 무속신앙에서 말하는 3가지 악재

삼재(들삼재,눌삼재,날삼재)에 대하여: 무속신앙에서 말하는 3가지 악재

 

개요

 

삼재란 인간의 인생에서 가장 위험한 시기를 말하는 단어입니다. 인간은 약 9년 주기로 삼재를 경험하게 됩니다. 삼재팔난은 3가지 재해와 8가지의 고난이라는 뜻의 한문 사자성어이며, 삼재의 시작을 말 합니다. 삼재의 개념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9년 주기로 3년 동안 다양한 재난을 겪게 된다고 합니다. 삼재의 첫 해인 들삼재는 삼재 1년차, 다음으로 눌삼재는 삼재 2년차, 마지막으로 날삼재는 삼재 3년차라고 합니다.

 

기원

 

삼재의 정확한 기원은 알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불교에서 시작되어 무속신앙의 점사를 매개로 현대까지 이어져 왔다고 생각합니다. 삼재 풀이의 기본 원리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로 기억하기 쉬운 십이간지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이에 맞춰 사주명리학이나 인간의 운명을 점치는 내용들에 종종 등장하며, 옛 선조들로부터 그의 자손들을 통해 구전으로 전해지면서 대중에게 퍼지고 무속신앙에서 말하는 인간의 운명 중 하나의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삼재의 내용

 

삼재에는 여러 가지 재해가 포함됩니다. 도병재, 질역재, 기근재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재해로 이해됩니다. 수재, 화재, 풍재는 세계적인 재해로, 전 세계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삼재년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며, 개개인의 출생년에 따라 삼재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삼재 계산 방법

 

  • 일반적으로 삼재의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 띠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신이 태어난 해와 태어난 해의 띠를 확인합니다.
  2. 자신이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첫 들삼재의 해를 찾아냅니다. 이를 위해서는 십이지를 따라가며 해당되는 해를 찾으면 됩니다.
  3. 날삼재가 끝나는 해부터 9년씩 더하면 그것이 다음 삼재에 해당하는 해입니다. 일반적으로 들삼재의 해에 12를 더하면 알 수 있습니다.

 

기타 사항

 

  1. 삼재 안에는 복삼재, 평삼재, 악삼재라는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합니다. 복삼재는 재난을 통해 전화위복이 되는 경우를 말하며, 평삼재는 예상한 것처럼 재해가 찾아와서 평범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입니다. 악삼재는 이미 예상한 대로 재난이 찾아와서 악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삼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

 

삼재에 대한 믿음은 무속신앙을 단순 미신으로만 생각하는 사회 관념의 변화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는 점차 이 개념이 등한시 되어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삼재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방지하려 노력을 기하고 무당을 통해 점사를  보기도 합니다. 이는 주로 어른 세대를 통해 전승되며, 20대 후반의 젊은이들에게 삼재에 관해 물어보면 누구나 삼재가 불운한 것이라는 정도의 이해는 갖고 있습니다. 일부 민간 신앙 행사에서는 여전히 삼재에 관련된 신앙심을 가지고 삼재의 시작을 알리는 해인 들삼재 해에 들어오는 액운을 방지하는 부적을 사용하거나, 삼재가 닥칠 당사자의 부모님 혹은 조부모님이 부적과 같은 비방들을 몰래 방 안에 붙여두는 경우도 있습니다.

 

삼재와 삼재액을 막기 위한 방법

 

일반적으로 삼재는 시간과 함께 다가오고 사람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너무나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완전히 막거나 미연에 방지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다만 일부 무속 신앙의 관행에 따르면 상대방이 삼재인 것을 알고 있다면 부적이나 굿과 같은 것을 선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예로 부적에 쓰이는 내용은 동방, 남방, 서방, 북방을 기반으로 목/화/금/수의 힘을 나타내며, 이에 맞춰 부적을 받게 됩니다.

 

삼재와 관련된 무속적인 관행들

 

  1. 삼재를 막고자 하는 다양한 관습과 신앙행사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삼재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세 마리의 독수리를 그린 부적을 문 위에 붙이는 것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 신앙행사를 이행하지만, 동물 복지를 생각하여 세 마리의 독수리를 빨간 물감으로 그리고 문 위에 붙이는 대신, 삼재년을 겪는 사람의 옷에 그려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삼재 년에 출생한 사람들은 첫 번째 호랑이날과 첫 번째 말날에 각각 세 개의 그릇에 음식과 과일을 차려놓고 촛불을 밝혀 기원하는 관습도 있습니다.
  2. 또 다른 관습은 한국의 정월 보름날에 들삼재년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종이에 버선본을 오려 대나무에 꽂아 놓고 지붕의 용마루주(雄馬簀)에 꽂아놓은 다음 동쪽을 향해 7번 절을 하기도 합니다. 또는 동집주(童葅柱)를 태울 때 자신의 옷에 동정주(童貞朱)를 태우는 것이나 삼재 부적을 무당이나 경문을 외우는 법사로부터 받아 몸에 지니고 다니는 무속적 관습도 있습니다.

 

삼재의 다른 의미

 

동양 철학에서 ‘삼재(三才)’라고 하면 주로 천지인을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우리가 이해하기 쉽게 풀어 설명하자면 재앙을 뜻하는 재앙 재(災)와 재주 재능등을 표현하는 단어 재능 재(才)자가 달라 발음만 같고 뜻은 다름을 의미합니다. 하늘을 뜻하는 천(天)과 땅을 뜻하는 지(地), 그리고 인간을 뜻하는 사람 인(人)자를 뜻하며 이는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3요소를 이야기하며 동양철학 중 하나인 주역(周易)이나 중용(中庸)에서 나오는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글 훈민정음에서도 해당 개념과 관련하여 자주 다루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및 답변

 

Q: 삼재(三災)란 무엇인가요?

  • A: 삼재는 인생에서 가장 위험한 시기를 의미하는 단어로, 약 9년 주기로 발생하는 위기의 기간을 설명합니다.

 

Q: 삼재의 기원은 무엇인가요?

 

  • A: 삼재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체로 불교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Q: 삼재에는 어떤 종류의 재해가 포함되나요?

 

  • A: 삼재에는 도병재, 질역재, 기근재(인간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재해)와 수재, 화재, 풍재(세계적인 재해) 등이 포함됩니다.

 

Q: 삼재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있나요?

 

  • A: 삼재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부적이나 다른 방법으로 보호하고 주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Q: 삼재와 사주를 어떻게 연관시킬 수 있나요?

 

  • A: 현대 사주명리학에서는 삼재 개념은 잘 사용되지 않지만, 아직도 일부 사람들은 삼재에 대한 신봉을 가지고 있으며, 삼재년에는 부적 등을 사용하여 보호하고 주의해야 한다는 양상이 있습니다.

 

Q: 삼재와 관련된 민속 신앙이 있나요?

 

  • A: 삼재에 대한 민속 신앙은 아직 일부 지역 사회에서 남아 있으며, 삼재 관련 신앙행사나 관습을 통해 전해지고 있습니다.

 

Q: 삼재를 막기 위한 관습이나 신앙행사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A: 삼재를 막기 위한 관습으로 세 마리 독수리 부적을 문 위에 붙이는 것이 대표적이며, 정월 보름날에 다양한 신앙행사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Q: 삼재는 어떤 의미로 사용되나요?

  • A: 삼재(三才)는 동양 철학에서 천지인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는 주역이나 중용과 관련하여 자주 다루어지며, 한글 훈민정음에서도 해당 개념과 관련된 내용이 다루어집니다.